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3)
K급 소화기란 무엇인가: 구조·작동 원리 ① K급소화기·ClassK·ClassF|정의·분류·적응화재의 범위K급소화기는 조리유(식물성·동물성 유지)로 인한 주방화재를 진압하도록 설계된 주방전용 습식화학 소화기다. 미국 체계에서는 Class K, 유럽 EN3 체계에서는 Class F로 표기되며, 공통적으로 튀김솥·프라이팬·그릴·인덕션·가스레인지 등에서 과열된 식용유가 연소하는 상황을 적응화재로 규정한다. 충전약제는 대개 **칼륨계 수용액(칼륨 아세테이트/시트레이트/포메이트 혼합)**이며, 방출 시 고온의 지방과 반응해 **비누화(saponification)**를 일으키는 것이 핵심이다. 이 장비가 일반 ABC/BC 분말소화기, CO₂ 소화기, 물소화기와 구별되는 이유는 단지 약제가 다르기 때문이 아니라 **“표면 피복+질식+냉각+재발화 억제”**라..
일반 분말 소화기로는 안 되는 이유 ① 분말소화기·식용유화재·재발화|분말이 ‘기름표면’을 덮지 못해 생기는 구조적 한계일반 분말 소화기(BC/ABC형)는 주로 탄산수소나트륨·탄산수소칼륨·인산암모늄 분말로, 연소 연쇄반응을 차단하고 일시적으로 산소 접촉을 줄여 화염을 꺼뜨립니다. 문제는 식용유 화재가 뜨거운 액체층이 연료인 상태에서, 표면 바로 아래에 고온층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분말은 액체 표면에 점착성 피복막을 만들지 못해, 순간 소염 후에도 잔열이 남아 자연발화점 부근의 기름이 다시 증발·가연 혼합층을 만들고 재발화(reflash)합니다. 즉 “꺼졌다”는 시각적 신호가 나와도 기름의 온도는 거의 안 떨어진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K급(습식화학)**은 칼륨계 수용액이 고온의 지방과 **비누화(saponification)**를..
식용유 화재의 과학적 원리와 위험성 ① 식용유 화재 과학|연기점·인화점·자연발화점의 임계와 기름층 거동식용유 화재는 “온도 임계+증기 축적+산소 공급+표면 교란”이 겹치며 가속되는 특성이 있다. 먼저 연기점에 도달하면 육안으로 보이는 푸른 연무가 생기고, 지방산의 산화·중합·열분해가 가팔라지며 가연성 증기와 에어로졸이 다량 발생한다. 인화점을 넘기면 표면 근처에 축적된 증기가 작은 불꽃, 전열기 스파크, 가열기 표면의 고온점 등 미세 점화원과 접촉하는 순간 일시적 화염이 치솟을 수 있다. 자연발화점에서는 별도 점화원 없이 스스로 연소가 개시되는데, 이때 기름층 내부의 온도 구배가 중요하다. 팬이나 냄비 벽면에서 전달되는 열과 상향 대류가 표면으로 계속 공급되면서, 얕아 보이는 기름이라도 표면 바로 아래에 고온층이 형성되고 잠재 열에너지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