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재

가정·사업장 화재 대비 체크리스트(다운로드용)

① 점검체계·체크리스트·SOP·역할분담|가정·사업장 공통의 ‘운영 원칙’과 목표 설정

가정과 사업장의 화재 대비는 장비만 갖추는 문제가 아니라 달력화·책임화·문서화가 핵심이다. 먼저 목표를 수치로 고정한다: □ 초기 발견 후 30초 내 알림(콜아웃)60초 내 열원 차단·119 신고90초 내 소화기 전개180초 내 재발화 감시. 다음으로 역할분담을 정한다(가정: 보호자A=소화/보호자B=대피·신고, 사업장: IC/소화팀/통신/대피유도/안전관찰/서기). 그리고 **SOP(표준행동절차)**를 한 문장으로 통일한다: “오프(열원)→덮기(뚜껑·소화담요)→K급/ABC 사선 분사→10~20초 관찰→환기 최소화→119 신고·피난 유도”. 마지막으로 달력화한다. □ 일상(매일) □ 주간(요일 지정) □ 월간(날짜 고정) □ 분기/반기(정기 점검)로 나누고, 각 항목을 체크박스로 관리한다. 기본 규칙은 다음과 같다. [공간·동선] □ 소화기 전면 1m 무장애 □ 피난로 80cm 이상 확보 □ 가연물(박스·행주·종이/비닐) 열원 1m 내 금지. [인식·알림] □ 모든 구성원이 콜아웃 문구를 외움(예: “불이야! 열원오프!”) □ 비상연락망(가족·관리인·보안실·소방서) 문 앞·휴대폰 즐겨찾기 동시 비치. [기록] □ 점검표에 정상/이상·조치·서명 남김 □ 사용/교체/재충전 영수증·사진 로그 보관. [금기 3대] □ 물 붓기 금지 □ 불붙은 팬 이동 금지 □ 창문·후드 급개방 금지. 이 네 축(목표·역할·SOP·달력)이 잡혀야 체크리스트가 종이에서 행동으로 변한다.

② 설비·소화기·K급·경보기·배치기준|필수 장비 목록과 ‘위치·높이’ 체크 포인트

[소화기 구성] 가정/소규모 업장 기준: □ K급 1대(주방, 열원에서 팔 길이+한 걸음(1.5~2m), 눈높이 이하 0.8~1.2m 설치) □ ABC 1대(전기·고체화재, 출입구 측) □ 소화담요 1매(가열기 인접 하부장) □ CO₂(선택) 전기설비 인접. 중·대형 사업장: □ 구역별 위험물에 맞춘 K/ABC/CO₂ 역할 분담스탠드형 대형기(보행거리 기준 충족) □ 자동소화설비(후드 노즐/가스 차단 연동) 검토. [배치 기준] □ 각 층에 최소 1대 □ 어느 지점에서도 소형 20m·대형 30m 이내 보행거리 충족 □ 문 뒤/가구 뒤 은폐 금지 □ 라벨·게이지 정면 가시. [경보기·차단장치]광전식 연기감지기(주방 인접, 복도/거실) □ CO 경보기(보일러·가스기기 근처) □ 가스누설 경보기+자동 차단 밸브 □ 분전반 차단기 표시·회로 라벨링. [열원·전기·가스] □ 인덕션: 차일드락·타이머·잔열(H) 활성 □ 가스: 열전대/이온식 화염감지, 호스 균열·클램프 점검 □ 멀티탭 정격 확인, 고열 기기는 단독 회로. [후드/덕트/환기] □ 주방 후드 주간 필터 세척·월간 탈지·분기 덕트 세정 □ 환기는 완전 진화 후 최소 개방 원칙. [취약자 보호](가정) □ 버너 가드·노브 커버·차일드 게이트 □ 손잡이 안쪽 방향 □ 테이블보 제거 □ 바닥 미끄럼 방지. [표지] □ 고대비·축광 “식용유 화재=K급/물 금지” □ 피난도·소화기 위치 픽토그램. 설치 높이 상한은 바닥에서 1.5m 이하, 권장은 0.8~1.2m. 이 규격·배치 원칙을 지키면 장비가 “있는 곳”에서 “쓰이는 곳”이 된다.

③ 운영·청결·후드덕트·전기·가스|일상·주간·월간 ‘다운로드용’ 점검 항목(체크박스)

[일상(매일)] □ 소화기 전면 1m 무장애 □ K급 브래킷 인출 확인 후 재체결 □ 소화담요 탭 노출 □ 열원 1m 내 가연물 0건 □ 후드 필터 육안 오염 체크 □ 멀티탭 발열·변색 없음 □ 가스 냄새·치익 소리 이상 무 □ 피난문 개폐 원활. [주간(요일 지정)]게이지 정상, 봉인핀·안전고리 온전노즐·호스 균열·막힘 없음, 노즐 캡 분실 無 □ 브래킷 흔들림 0(앵커 견고) □ 라벨 가독성 유지 □ 표지(축광/야광) 부착상태 양호 □ ABC 분말 가볍게 흔들어 케이킹 방지(※ K급은 흔들지 않음) □ 후드 필터 탈지 세척 □ 바닥 건조·미끄럼 없음3분 드릴 1회(오프–덮기–K급–관찰–신고 콜아웃). [월간(날짜 고정)]유효기간·제조년월 점검, 6개월 이내 만료분 사전 교체 계획CO/연기 경보기 테스트(버튼·배터리) □ 가스 누설 테스트(비눗물·차단 밸브 작동) □ 분전반 라벨 재점검(차단기 위치 익히기) □ 덕트·후드 내부 탈지(사업장: 전문세정 예약 확인) □ 사진 로그(정면/라벨/게이지/설치 환경) 업로드 □ 비상연락망 업데이트 □ 근접사고(Near-miss) 원인–대책 기록. [분기/반기]전문점검(재충전·밸브·노즐·방사 패턴 테스트) □ 전기 절연저항 측정가스 설치 전체 점검 □ 자동소화설비 노즐 캡·탐지라인 상태 확인. [교체·재충전 규칙] □ “한 번이라도 분사=즉시 재충전” □ 게이지 비정상·누액·부식·라벨 훼손=즉시 스와핑(예비기 투입). 이 표를 그대로 출력·부착하면 다운로드 체크리스트로 곧장 사용할 수 있다.

④ 비상대응·대피·연락망·사후복구|사고 시 행동·피난·기록·재개 기준(가정/사업장 공통)

[비상대응 SOP(6단계)]오프: 가스밸브·인덕션 전원 즉시 차단덮기: 뚜껑/소화담요 사선 하향으로 부드럽게 덮고 미개방 유지소화: K급 미스트/팬형으로 먼 가장자리→중앙 얇고 넓게 도포(전기/고체화재=ABC, 전기설비=CO₂) □ 관찰: 10~20초 가장자리 끓음·거품 소멸 확인, 필요 시 얇게 보강환기 최소: 완전 진화 전 창문·후드 급개방 금지119·대피: 주소·층·연소물·부상자 유무·연락처 전달, 엘리베이터 금지·대피로 안내. [대피·취약자 케어](가정) □ 아동: “불이야 들리면 식탁 아래→현관한 문장 규칙 □ 노인: 큰 글씨 대비카드, 복도 손잡이, 보청기 미착용 시간=광·진동 경보 □ 반려동물 캐리어 문앞 배치. (사업장) □ 층별 집결지·인원 점검표 □ 고객 안내 멘트 스크립트 상시 비치. [사후복구·기록]열원 오프 재확인사용 소화기 재충전/교체 접수 □ 후드·덕트·상부장 열화상/시각 점검 □ 전기·가스 누설·절연 확인사건 로그(SITREP): 원인/조치/재발방지·사진·시간 로그 □ 보험·임대·행정 제출 서류 정리. [영업·조리 재개 기준](사업장) □ 경보기 정상 □ 가스 누설 0 □ 전기 절연 합격 □ 소화기 예비기 포함 정상 배치 □ 훈련 리마인드 완료. [금기 3대 재확인]물 붓기 금지불붙은 팬 이동 금지환기 급개방 금지. 마지막으로 지속개선 루프를 돌린다: □ 월간 지표(점검 준수율·교체 TAT·금기 위반 0건) 리뷰 □ 반복 오류 원인–대책 실행(표지 위치 변경·브래킷 이설·타이머 강화 등) □ 계절 변수(혹서·혹한·장마) 반영 주기 보정. 이 4문단 체크리스트를 현장에 그대로 붙이고 매일 체크하면, 가정과 사업장은 언제든 똑같이 잘 하는 3분 대응을 확보한다. “장비×절차×습관”이 맞물릴 때, 화재는 초동에서 끝나는 작은 사건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