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재

사업주가 직원에게 교육해야 할 화재 예방 포인트

① 정책·SOP·역할분담·금기사항|사업주가 첫날부터 가르쳐야 할 ‘한 문장 규칙’

사업주 교육의 출발점은 장비보다 정책·절차(SOP)·역할이다. 직원에게는 긴 매뉴얼 대신 한 문장 규칙을 먼저 각인한다: “오프(열원차단)→덮기(뚜껑·소화담요)→K급 미스트/팬형 도포→10~20초 관찰→신고·대피.” 이 문장을 벽면 피토그램역할카드로 시각화하고, 모든 교대가 같은 구호로 움직이게 만든다. 시간 목표도 수치화한다. T+30초: “불이야! 열원오프!” 콜아웃과 전원·가스 차단, T+60초: 119 신고 스크립트(상호·주소·층/구역·연소물·부상자·연락처), T+90초: 소화담요로 상부 질식+K급 전개, T+180초: 재발화 감시 종료. 역할분담은 IC(현장지휘)·소화(2)·통신(1)·대피유도(1)·안전관찰(1)·서기/타임키퍼(1)로 고정하고, 명찰 뒤 역할카드를 넣어 누구나 1분 안에 자신의 임무를 인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금기 3대를 반복 암기시킨다. ① 물 붓기 금지: 순간증기폭발로 파이어볼을 유발한다. ② 불붙은 팬 이동 금지: 고온층이 뒤집혀 대량 비산·전신 화상을 부른다. ③ 창문·후드 급개방 금지: 난류·산소 급증으로 화세가 커진다. 추가 금기로 분말 소화기를 코앞에서 제트 분사하지 말 것(표면 교란·에어로졸화)도 포함한다. 교육 언어는 현장 맞춤형으로 단순화한다. 주방: “오프–덮기–K급–관찰”, 홀/사무: “전원–CO₂/ABC–관찰”, 창고: “ABC–스윕–퇴로확보”. 마지막으로 퇴로 원칙을 각인한다. 소화 시에는 퇴로를 등지고 사선 접근, 피난은 출구 A/B 이중 루트를 통해 집결지로 이동, 엘리베이터 금지. 이렇게 한 문장 규칙+시간 목표+역할카드+금기 3대를 첫날에 고정하면, 초동의 품질은 교대가 바뀌어도 흔들리지 않는다.

② 설비·소화기·경보기·배치기준|K급 중심 장비 교육과 ‘높이·거리·무장애’의 3요소

장비는 보유가 아니라 가용성이 교육 포인트다. 직원에게 K급·ABC·CO₂의 역할을 명확히 가르친다. K급 소화기: 동·식물성 유지 화재(팬·프라이어)에 1차 사용. 사선 하향으로 자신과 먼 가장자리→중앙 순서로 미스트/팬형을 얇고 넓게 도포해 비누화막을 만든다. ABC 분말: 고체·일반 가연물·일부 전기기기 외장. 근접 제트 금지, 바닥선 스윕으로 기저를 누른다. CO₂: 전기설비·민감 장비, 밀폐 공간 과다 사용 금지(질식 위험). 배치 기준은 높이·거리·무장애의 3요소로 외운다. 높이: 눈높이 이하(권장 0.8~1.2m, 최대 1.5m). 거리: 가열기에서 팔 길이+한 걸음(1.5~2m), 층/구역별 보행거리 기준 충족. 무장애: 전면 1m 완전 개방. 소화담요는 가열기 옆 하부장 전면에, ABC는 출입구 측에 두어 역할 분담을 직관화한다. 경보기 교육도 핵심이다. 광전식 연기감지기는 문턱/복도, CO 경보기는 가스기기·보일러 인접에 설치하고 월 1회 테스트·연 1회 배터리 교체를 루틴화한다. 후드·덕트는 화염의 고속도로가 될 수 있으므로 필터 주간 탈지·후드 월간 탈지·덕트 분기 세정을 표준 주기로 가르치고, 필터 전후 차압·풍량/유속을 분기 측정해 세정 시점을 예측하게 한다. 전기·가스는 정격·접지·누전차단기(RCD)·가스누설경보+자동차단 세트를 기본으로 설명하고, 멀티탭 연쇄·정격 초과·코드 압좌 금지, LPG 실린더 수직 고정·상·하부 환기·비눗물 누설 검사한 문장 SOP로 암기시킨다. 교육 때는 형식승인·인증표기 확인법, 게이지 녹색·봉인핀 이상 無·브래킷 흔들림 0 같은 눈으로 보는 체크포인트를 직접 시연해 “있는 장비가 곧 쓰이는 장비”가 되게 한다.

③ 환기·청결·기름관리·전기·가스|사고의 크기를 줄이는 ‘숫자 기반’ 운영습관

사업주는 직원에게 “감”이 아닌 숫자로 관리하는 습관을 가르쳐야 한다. 환기차압·풍량·유속을 분기마다 기록해 기준선을 만들고, 상승 추세가 보이면 세정 예약을 건다. 과도한 음압은 출입문 틈바람으로 플레어를 위로 끌어올리므로, 메이크업에어 위치·풍량으로 균형을 맞춘다. 청결은 주간/월간/분기로 단순화한다. 주간: 후드 필터 탈지, 바닥 미끄럼 방지 상태 확인, ABC 가볍게 흔들어 케이킹 방지(※K급은 흔들지 않음). 월간: 캐노피 내부·그리스 트레이 탈지, CO/연기 경보기 테스트, 분전반 차단기 라벨·위치 암기 재확인. 분기: 덕트 심부 세정(스크레이핑+세정제+고압세척), 차압·풍량 업데이트, 자동소화설비 노즐 캡·탐지라인 점검. 기름관리는 색·냄새·거품성·점도로 폐기 주기를 수치화하고(메뉴·회전율 따라 1~3영업일), 바스켓 드립 타임을 확보해 표면 교란을 줄인다. 냉동식품은 전날 저온해동→조리 직전 표면 완전 건조를 표준으로 박아 수분 혼입을 차단한다. 전기는 고열 기기를 전용 회로+접지+RCD에 연결하고, 플러그 변색·그을음·헐거움은 즉시 교체, 코드 감기·릴 사용으로 열을 가두지 않게 한다. 가스누설경보+자동차단을 연동하고, 호스 균열·클램프 이탈분기 교체를 원칙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금기 3대를 운영표에 박는다: 물 붓기 금지, 불붙은 팬 이동 금지, 급환기 금지. 이 습관들이 화재의 크기를 구조적으로 줄이며, 초동의 성공률을 눈에 띄게 끌어올린다.

사업주가 직원에게 교육해야 할 화재 예방 포인트

④ 훈련·드릴·피드백·KPI·문화|모든 교대가 ‘3분 안에 똑같이’ 하게 만드는 운영

교육의 끝은 훈련이고, 훈련의 목적은 재현성이다. 사업주는 월 1회 3분 드릴, **분기 1회 종합훈련(대피 포함)**을 달력화하고, 매회 시간 로그를 남긴다. 드릴은 경로 A/B 번갈아 실시해 한쪽 통로가 막혀도 같은 품질로 대피하도록 만들고, 콜아웃–열원차단–소화담요–K급–관찰–신고 순서를 소리 내어 반복한다. 평가 지표는 행동·시간·안전으로 나눈다. 행동: 올바른 콜아웃 문장 사용, 퇴로를 등진 사선 접근, K급 미스트/팬형 패턴, 10~20초 재발화 관찰. 시간: T+30 알림, T+60 차단/신고, T+90 분사, T+180 관찰 종료 ±10초 편차. 안전: 금기 위반 0, 전기 화재 시 분전반 차단 후 진압 준수. 훈련 후 셀프 리뷰로 “잘한 점 2·개선 2”를 적고, **근접사고(Near-miss)**를 동일 양식으로 문서화해 다음 달 시나리오에 즉시 반영한다. 문서 4종 세트—설치도·배치사진, 점검표(일상·주간·월간·분기), 정비/재충전 영수증, 세정·차압·풍량 로그—는 클라우드에 보관해 소방 점검·보험·임대·본사 대응을 단순화한다. KPI는 “점검 준수율 100%”, “K급 상시 가용률 100%”, “설치 높이(≤1.5m)·전면 무장애 위반 0”, “금기 위반 0”, “훈련 참여율 ≥95%”, “결함→조치 TAT ≤24h”로 정하고, 미달 항목은 원인–대책–기한–책임자를 명시해 닫는다. 보상·인정 문화도 중요하다. “이번 달 모범 콜아웃 팀”, “최단 분사 개시 기록”, “금기 제로 달성”을 게시하고, 신규 입사자는 첫 주 내 3분 드릴 의무로 제도화한다. 결론은 간단하다. **정책(한 문장 규칙)×장비(K급 중심)×숫자 운영(차압·풍량·온도)×훈련(재현성)**을 엮어 모든 교대가 3분 안에 똑같이 하게 만드는 회사가 화재를 초동에서 끝내는 회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