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메시지전략·키비주얼·카피·행동유도|포스터/안내문이 ‘읽히고, 기억되고, 움직이게’ 만드는 핵심 설계
주방 화재 예방 캠페인 포스터/안내문은 경고문이 아니라 행동 유도 장치다. 메시지 구조는 한 줄로 시작한다: “오프→덮기→K급→관찰→신고”. 이 한 문장 규칙을 최상단 히어로 카피로 배치하고, 그 아래에는 **금기 3대(물 붓기 금지·불붙은 팬 이동 금지·급환기 금지)**를 피토그램과 함께 강조해 즉시 회상되도록 한다. 시선 유입은 좌상단 키비주얼(가열기 실루엣+K급 아이콘+소화담요)로, 시선 흐름은 Z패턴(좌상단→우상단→좌하단→우하단)으로 설계한다. 행동 유도는 매장 맞춤형 CTA로 분기한다: ① 교육용 포스터—“월1회3분드릴,오늘15:00연습”, ② 설치 안내문—“K급눈높이이하·전면1m무장애”, ③ 점검 체크카드—“후드필터주간탈지·덕트분기세정”. 카피 톤은 짧고 반복 가능한 문장으로, “지금, 바로, 누구나” 프레이밍을 쓴다(예: “지금 전원을 끄고, 덮고, K급으로 얇게”). 가시성을 위해 숫자를 적극 활용한다(1.52m, 0.81.2m, 10~20초, A/B출구). 현장 적합성은 업종별 보정으로 확보한다: 편의점·분식집(좁은 동선·포장재 다량), 급식소(다인 대피·역할분담), 카페/푸드트럭(천막·풍하피난). 이중 언어(국문+간단 영어/중국어) 표기는 인바운드 고객이 많은 상권에서 유효하고, 핵심 금기는 그림+단어 2개로 끝낸다(“물금지/NoWater”). 마지막으로 장소별 버전링—가열기 상부용 미니 카드(금기3대), 출입구 측 대형 포스터(대피 동선), 소화기 브래킷 옆 미니 스트립(“핀뽑고사선하향”)—을 세트로 기획하면 한 공간에서 다중 접점 반복이 가능해진다.
② 레이아웃·타이포그래피·컬러·피토그램|작지만 강한 디자인 언어로 오작동을 줄이는 시각 규격
레이아웃은 A3/A4 공용 그리드(여백 포함 12열)로 만들고, **상단 35%**는 히어로 카피+키비주얼, **중단 45%**는 SOP 단계 그림, **하단 20%**는 체크리스트/CTA/QR로 고정한다. 세이프티 마진 10mm, 블리드 3mm, 인쇄 해상도 300dpi를 기본으로 하며, 아이콘 최소 크기 9mm(손가락으로 가리켜 식별 가능한 한계) 기준을 둔다. 타이포는 본문 가독 9–11pt(인쇄), 숫자·단계는 12–14pt, 헤드는 24–36pt 이상을 권한다. 줄간 130–150%, 문단간 0.6–1행으로 공기층을 만들고, 모든 수치·규정은 단위를 포함한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한다(예: “눈높이 0.8~1.2m”). 컬러는 **경고(적·주황)–행동(청록·녹)–정보(회색)**의 3계조로 묶고, 본문 대비는 WCAG4.5:1 이상을 유지해 연기·저조도에서도 읽히게 한다. 피토그램은 선 굵기 통일·45° 사선을 활용해 “사선 접근·사선 분사·사선 덮기”를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금기 3대는 빨간 원형 금지 표식으로 반복 노출하되, 텍스트는 2~3어절로 제한한다(“물붓기금지/Don’taddwater”). SOP 다이어그램은 좌→우, 위→아래 흐름을 굵은 화살표로 표현하고, 각 단계에 시간 태그(T+00:30, T+01:30, T+03:00)를 부착한다. QR은 밝은 여백 4mm를 두고, URL은 짧은 커스텀을 사용해 수기 입력도 가능하게 한다. 시각 균형의 기준은 “5초 규칙”: 5초 안에 ① 금기 3대, ② 한 문장 규칙, ③ 행동 CTA 중 두 개 이상이 이해되어야 합격이다. 디자인은 아름다움보다 오작동 감소가 목표라는 사실을 잊지 않는다.
③ 정보구조·체크리스트·QR·접근성|SOP를 10초 요약하고 현장에서 바로 쓰게 만드는 내용 설계
콘텐츠는 10초 요약→30초 실행→3분 완결 구조로 짠다. 상단 10초 요약: **“오프→덮기→K급→관찰→신고”**와 금기 3대. 중단 30초 실행: 그림 4장(① 열원차단 ② 소화담요 사선 덮기 ③ K급 미스트/팬형: 먼 가장자리→중앙 ④ 눈높이 이하 0.8~1.2m, 전면 무장애 1m. 하단 3분 완결: 대피 멘트 스크립트(“지금 즉시 가까운 출구로 이동하세요. 결제·물건은 두고 나오셔도 됩니다”), 119 신고 서식(상호·주소·층/구역·연소물·부상자·연락처), 집결지 아이콘. 체크리스트는 오픈/주간/월간/분기 4열로 축약하고, 각 항목을 체크박스+동사로 시작한다(“필터탈지”, “게이지녹색확인”, “브래킷흔들림0”). 접근성은 두 축으로 마련한다. 시각: 고대비·큰 숫자·아이콘 반복. 언어: 쉬운 한국어+핵심 영어 병기(“Off–Cover–K-Class–Watch–Call”). 난청·소음 환경을 대비해 QR로 30초 무음 자막 영상을 제공하고, 관리자용 안내문에는 음성 안내 스크립트를 텍스트로 넣는다. 업종별 커스텀 블록은 가열기 타입·동선에 맞춰 교체한다: 편의점/분식집(포장재 적치 주의·멀티탭 정격), 급식실(역할분담 카드·대피 루트 A/B), 푸드트럭/카페(차양 난연·풍하 피난). 마지막으로 교체·점검 기록란(설치일, 책임자, 다음교체일)을 안내문 하단에 마련해 문서화 습관을 붙인다. 포스터는 예쁘게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현장 사용성으로 끝난다는 점을 강조한다.
④ 제작·인쇄·설치·운영·평가|현장에서 오래 버티고 효과를 남기는 실행 규격과 성과 관리
제작 사양은 CMYK 인쇄, 300dpi, 블리드3mm, 세이프10mm를 표준으로, 종이는 방수·내유성 합성지(유포지/PP계열) 또는 알루미늄 콤포짓 패널을 권한다. 주방 내 스팀·기름막을 고려해 무광 라미네이팅으로 눈부심을 줄이고, 가장자리는 라운드 코너로 세척 중 들뜸을 줄인다. 자석/벨크로/나사 3종 고정부품을 함께 제공해 타공이 어려운 매장도 설치 가능하게 하고, K급 소화기 브래킷 옆 미니 스트립은 방수 스티커로 제작해 손타이밍에 맞춘다. 설치 위치는 눈높이 1.5m 중심선, 가열존 전면 1m 밖, 출입구·소화기 전면 1m 무장애를 원칙으로 한다. 운영은 교체 주기 12~18개월(훼손 시 즉시), 세척 주간 1회(중성세제+미지근한 물)로 규정하고, 훼손·오염·탈색 시 QR 신고 폼으로 재발주를 자동화한다. 성과 관리는 QR UTM으로 조회/시청을 추적하고, **직원 퀴즈(3문항·월1회)**로 기억률을 측정한다. KPI는 포스터 가독성 테스트 합격률≥90%(5초 규칙), 드릴 참여율≥95%, 금기 위반 0, 소화기 전면 무장애 준수율 100%, 결함→조치 TAT≤24h로 둔다. A/B 테스트도 병행한다: 손실회피형 카피(“물 붓기 한번이 매장 폐점”) vs 이득프레이밍(“3분 드릴이면 영업중단 0분”)의 호소력/기억률 비교, 아이콘 스트로크 굵기·헤드라인 배경색 변화에 따른 시선정착 시간 비교를 월간 리포트로 회고한다. 마지막으로 세트화 전략—포스터(A3)+미니스트립(브래킷)+대피루트 플로어 마킹+체크리스트 패드—로 장소기억을 구축한다. 이렇게 **메시지(한 문장 규칙)×디자인(가독·대비·피토그램)×콘텐츠(SOP·금기·체크리스트)×실행(재질·설치·KPI)**를 한 번에 잠그면, 캠페인 포스터/안내문은 보기 좋은 종이가 아니라 초동 3분을 지휘하는 실전 도구가 된다.
'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주방 안전도 점검표” 자가 진단 시트 (0) | 2025.08.28 |
---|---|
주방 화재 예방을 위한 IoT 센서·스마트 기술 (0) | 2025.08.27 |
사업주가 직원에게 교육해야 할 화재 예방 포인트 (0) | 2025.08.25 |
주방 화재 대비 ‘비상 대피 동선’ 설계법 (0) | 2025.08.24 |
주방 화재 발생 후 재발 방지 조치 (0) | 2025.08.23 |
전기 주방기기(에어프라이어 등) 화재 예방 (0) | 2025.08.22 |
주방 화재와 탄소중독·연기 피해 대처법 (0) | 2025.08.21 |
편의점·분식집 작은 주방 화재 예방 (0) | 2025.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