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관·박물관 운영실무 매뉴얼: 분쟁·유실물·촬영·저작권

미아·분실 아동 ‘5분 프로토콜’ 방송 문안, 동선 봉쇄, CCTV 연계까지 현장 실무

5분 프로토콜(타임라인)

  • 0:00–1:00 접수·경보: 이름·나이·복장·마지막 위치·시각 파악 → 코드A 선포(출입구 통제/관제/수색/기록 배정). 고위험이면 112 예비신고.
  • 1:00–2:00 방송1·출입구 통제: 1차 방송, 출입구·에스컬레이터·주요 동선에 인원 배치(문 잠금보다 가시 통제).
  • 2:00–3:00 CCTV 역추적: 마지막 프레임 특정 → 전·후 5분 탐색, 출입구·엘리베이터·화장실·연결통로 우선.
  • 3:00–4:00 링 수색·방송2: 3링→2링→1링 순서, 2차 방송에서 특징(상의/하의/신발/소지품) 보강. 보호자는 제자리 유지.
  • 4:00–5:00 재평가·112 본신고: 단서 공유, 미발견 시 정식 112 신고 및 인접 시설 통보.

방송 문안

  • 1차: “**[장소/시각]**에서 아동이 보호자와 떨어졌습니다. 출입구·에스컬레이터 주변 주시를 부탁드립니다.”
  • 2차(특징 포함): “아동은 **[나이/성별, 상의/하의/신발/모자 색]**입니다. 발견 시 직원에게 즉시 알려주세요.”
  • 발견: “아동이 안전하게 보호자와 합류했습니다. 협조 감사합니다.”
  • 영문: “A child is separated near [location] around [time]. [age/gender, clothing]. Please inform staff if found.”

미아·분실 아동 ‘5분 프로토콜’ 방송 문안, 동선 봉쇄, CCTV 연계까지 현장 실무

무전 스크립트(요지)

  • 선포: “상황실, 코드A 선포. 마지막 목격 [장소/시각]. 출입구 1·2 배치, 관제는 마지막 프레임 확보.”
  • 관제: “A-03 카메라에서 확인. 10초 후 우측 통로. B-12 추적 중.”
  • 종결: “보호 완료. 통제 해제, 기록 전환.”

CCTV 체크리스트

  • 마지막 프레임 시각·카메라ID, 전·후 5분 탐색, 사각지대 보정, 출입·엘리베이터·계단 우선, 개인영상정보 처리대장 기재.

출입구·동선 관리

  • 문 잠금보다 관찰 강화가 원칙(군중 안전 우선).
  •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 주변에 전담 배치, 외부 연결통로 주시.

보호자 커뮤니케이션

  • “가장 중요한 시간입니다. 제자리에 계셔 주세요.”
  • 안전드림 사전등록 여부를 확인해 주시겠어요?”

문서·템플릿

  • 상황기록지: 일시/신고자/아동정보/특징/마지막 위치·시각/조치/112/결과/서명.
  • 사후 브리핑 노트: 잘한 점/개선점/사각지대 지도/훈련 반영 항목.

교육·훈련 루틴

  • 주 1회 5분 롤플레이(접수→방송→관제→수색).
  • 분기 1회 전관 모의훈련, KPI: 발견 평균시간, 마지막 프레임 확보 시간.

FAQ

  • Q. 보호자가 CCTV를 바로 보자고 하면? → 본인 확인·제3자 권리 검토 후 열람(또는 제한) 및 기록.
  • Q. 출입문을 잠가도 되나? → 원칙적으로 가시 통제. 불가피 시 일시 통제, 안내·대체 동선 병행.

근거/참고

  • 「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보건복지부 조기발견 지침(Code Adam형).
  • 경찰청 안전드림/182(지문·사진 사전등록).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CCTV 운영 가이드(보관·열람·기록), 기관 CCTV 운영방침(예: 보관 30일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