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관·박물관 운영실무 매뉴얼: 분쟁·유실물·촬영·저작권

좌석·열람 질서 분쟁 ‘판단 가이드’ 자리 맡기, 통로 적치, 소음까지 10분 내 해결 SOP

기본 원칙

  • 증거 우선: 스냅 사진·CCTV 타임스탬프·좌석관리 로그 확보.
  • 규정 준거: “이용규정/세칙 제○조에 따라…”로 고지.
  • 최소 개입·최대 질서 회복: 소지품 이동·퇴실은 단계적 적용.
  • 기록·재발 방지: 간단 로그와 월간 KPI(재발률·해제 리드타임).

좌석·열람 질서 분쟁 ‘판단 가이드’ 자리 맡기, 통로 적치, 소음까지 10분 내 해결 SOP

자리 맡기(사석화) 판단

  • 정의: 장시간 이탈 상태에서 물품으로 좌석 점유, 다좌석 선점, 대리 인증 등.
  • 시간 기준 예시:
    • 예약 미체크인 30분 → 자동 취소·누적 시 이용 제한.
    • 일반 좌석 무단 이탈 10~15분 → 1차 경고, 30~60분 → 좌석 해제·보관함 이관.
  • 예외: 장애인석·고령자·임산부 등 합리적 배려 1회 인정.

 

통로 적치·소음 판단

  • 통로 적치: 피난 동선 방해 물품은 즉시 시정 요구·필요 시 이동.
  • 소음: 통화·스피커·고성 반복 시 이용 제한·퇴실.

10분 해결 SOP

  • 0’~2’ 사실확인: 좌석번호·상태 촬영, 로그 조회.
  • 2’~4’ 1차 안내(스티커): “○분 초과 시 좌석 해제됩니다. [HH:MM] 기준.”
  • 4’~6’ 조치 실행: 좌석 해제, 물품 봉투+보관함 이동, 통로 적치 즉시 이동.
  • 6’~8’ 보고·기록: 좌석·시간·사진·보관 위치·담당자 로그.
  • 8’~10’ 재발 방지 안내: 반복자 제재 단계 고지(이의신청 경로 포함).

 

현장 도구

  • 좌석 해제 예고 스티커: “무단 이탈 ○분 초과. [HH:MM] 이후 좌석 해제·보관함 이관.”
  • 보관 봉투 라벨: “보관함 3층-B / 좌석 A-12 / 처리 HH:MM / 담당자 이니셜.”
  • 방송: “정숙 구역입니다. 자리 비움 ○분 초과 시 좌석 해제될 수 있습니다. 통로 물품은 즉시 이동해 주세요.”
  • 무전: “A-12 사석화 의심. [HH:MM] 스티커 부착, [HH:MM+○] 해제 예정.”

시스템 운영 팁

  • 미체크인 자동 취소(30분), 1인 1좌석, 3시간 갱신(성수기 2시간).
  • 알림 자동화(만료 10분 전). 누적 제재 단계: 경고→좌석 제한→시설 이용 제한.

체크리스트

  • 시간 기준·갱신·제재 내규·안내판 명시
  • 스티커·봉투·보관함 표준 라벨링
  • 앱/웹 고지: 1인 1좌석·자동 취소·이의신청 경로
  • 조치 행동 로그 주 단위 검토
  • KPI: 사석화 해제 건수·평균 리드타임·반복자 비율

근거/참고

  •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예약·좌석 안내(미체크인 30분, 누적 시 이용 제한).
  • 지자체·대학도서관 무단 이탈 10분 자동 취소 등 시례(참고치).
  • 기관 이용규정/시행세칙: 질서유지·이용 제한·안전 조항.
  • 공공도서관 운영 매뉴얼: 내규 체계화·표준 운영의 필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