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관·박물관 운영실무 매뉴얼: 분쟁·유실물·촬영·저작권

단체관람(학급·동호회) ‘사전 각서·안전 브리핑’ 풀세트 — 인솔자 비율, 동선·포토존, 비상대응 SOP

1) 목적·적용 범위(30초 브리핑)

  • 목적: 단체(학급·동호회·기업 연수 등) 관람의 안전·질서·학습효과를 동시에 달성.
  • 적용: 10인 이상 단체, 인솔자(교사/리더) 동반 필수, 관람 중 촬영·포토존·체험교육 포함 프로그램.
  • 원칙: 사전 고지(각서)도착 브리핑소그룹 분산핫라인·집결지 고정기록·피드백.

 

2) 예약 전 체크리스트(기관용)

  • 인원·연령대 확정(유아/초·중·고/성인/혼합 여부).
  • 인솔자 비율: 유아 1:8, 초등 1:12, 중·고 1:15, 성인 1:20 권장(기관 내규로 안내).
  • 특이사항: 휠체어·유모차·청각/시각 보조·알레르기·에피펜 소지자 등 접근성/안전 정보 수집.
  • 동선 선택: 표준 코스(45/60/90분), 포토존 위치정숙 구역(열람실·특정 전시실) 사전 고지.
  • 촬영 정책: 전시실 무플래시, 삼각대·셀카봉 금지, 열람실 촬영 금지.
  • 집결지·비상출구: 만남의 장소(집결지) 1곳 고정, 비상구·엘리베이터·화장실 위치 지도 제공.
  • 연락망: 담당자 핫라인(휴대전화), 인솔자 대표 2명 연락처 등록.
  • 프로그램 자료: 지도·스티커·그룹 배지·퀴즈지(선택) 준비.

단체관람(학급·동호회) ‘사전 각서·안전 브리핑’ 풀세트 — 인솔자 비율, 동선·포토존, 비상대응 SOP

 

3) 사전 각서(서약서) 템플릿(복붙용)

제목: 단체관람 안전·이용 서약서

  1. 우리 단체는 기관의 안전·질서·촬영·저작권 규정을 준수합니다.
  2. 전시실 무플래시, 삼각대·셀카봉 금지, 열람실 촬영·통화 금지에 동의합니다.
  3. **소그룹 지도(인솔자 배정)**와 집결지 시간 준수에 협조합니다.
  4. 관람 중 타인 초상권 보호를 위해 타인 식별 촬영·게시를 삼가며, 부득이한 경우 동의를 받습니다.
  5. 비상 상황 시 기관의 안전 지시에 따르며, 사고·파손 발생 시 즉시 신고하고 결과에 협력합니다.
  6. 분실물·유실물은 즉시 신고하고, 기관 절차에 따릅니다.
  7. (선택) 교육·홍보 목적의 현장 사진 촬영·재게시에 동의/비동의 표시.
  • 단체명/대표자/인솔자 성명·연락처/인원/일시/서명·날짜

서약서 접수 시 그룹 배지(색·번호)와 집결 시각이 적힌 스티커를 함께 교부하면 현장 통제가 쉬워집니다.

 

4) 단체 명단·역할표(복붙용 요약)

  • 명단 필드: 이름(또는 이니셜)/연령대/그룹 번호/특이사항(접근성·알레르기)/보호자 연락처(미성년).
  • 역할표: 총괄(교사/리더), 후미관리, 포토 담당, 응급 담당(구급함·에피펜 확인), 유모차/휠체어 지원.

5) 도착→입장 SOP(5단계)

  1. 집결·화장실: 집결지 확인 → 화장실·물 보충 5분.
  2. 보관: 큰 짐·우산·음료는 보관대/락커로 이동(통로 적치 금지).
  3. 브리핑(1분): 아래 스크립트 낭독.
  4. 소그룹 배치: 그룹 배지 확인(색/번호), 앞·중간·후미 인솔자 지정.
  5. 입장 간격: 그룹 간 2분 간격으로 분산 입장(혼잡·소음 완화).

6) 1분 안전 브리핑 스크립트(그대로 사용)

[일반]
“여기는 정숙·안전이 중요한 전시공간입니다. 전시실에서는 플래시·셀카봉·삼각대 사용이 금지이고, 표시선 밖에서 관람해 주세요. 통로는 비워 두고, 사진은 포토존을 이용해 주세요. **집결 시각·장소는 [HH:MM, 1층 로비 시계탑]**입니다. 길을 잃으면 안내데스크로 오세요. 고맙습니다.”

[어린이 버전(쉬운 말)]
“친구들, 작품은 아주 소중해요. 선 밖에서 보기, 뛰지 않기, 조용히 말하기! 사진은 포토존에서만 찍어요. 길을 잃으면 입구 큰 시계로 모이기! 선생님 말 따라요!”

[영문(간단)]
“Welcome! This is a quiet and safe gallery. No flash, tripod, or selfie stick. Please stay behind the line and keep corridors clear. Photos only at the photo spots. Our meeting point is [HH:MM at the Lobby Clock]. If separated, go to the Information Desk. Enjoy!”

 

 

7) 관람 중 운영 규칙(핵심)

  • 소그룹 이동: 한 작품 앞 최대 2그룹 대기, 3번째 그룹은 다음 작품으로 회전.
  • 정숙 구역: 열람실·특수전시는 속삭임 기준, 설명은 로비/교육실에서.
  • 포토존 분리: 포토 요구가 많을수록 전용 포토존으로 유도(표지·라인·콘).
  • 식음료·껌: 전시실 반입 금지, 물은 뚜껑 있는 병만 로비 구역 허용.
  • 접근성: 엘리베이터·경사로 우선, 유모차 대열은 2열 이하 유지.

8) 사건·민원 대응 SOP(4가지)

A. 이탈/미아

  • 즉시 코드A 선포(집결지 고정, 출입구 가시 통제), 마지막 목격 지점 확인, 방송 1차, 3링 수색 → 5분 내 미발견 시 112 신고(상세는 2편 참조).

B. 경상·불편

  • 안정을 취하게 하고 응급 키트 사용, 필요한 경우 119 또는 보호자 연락. 사고 시각·위치·원인 기록, 위험 요소 임시 통제.

C. 작품 접촉/훼손 의심

  • 즉시 접촉 해제 안내, 작품·케이스 상태 확인, 관계자 호출, CCTV 시간 고정. 고의·반복 시 퇴관·보고(S1~S0 등급).

D. 촬영 민원

  • 전시실 무플래시, 타인 식별 촬영 제한 안내, 상업·언론 의도 확인 시 허가 절차로 전환(4·6편 참조).

9) 종료·출구 SOP(5분)

  1. 집결 확인: 집결지 재확인, 인원 점검(그룹 번호제).
  2. 분실물 확인: 포토존·화장실·의자 주변 슬로우 스루(10~20초).
  3. 설문·피드백: QR 카드 배포(혼잡 시 온라인 설문 링크).
  4. 반납: 배지·가이드북 회수, 락커 점검.
  5. 감사 멘트: 다음 방문 유도(특별전/교육 프로그램 날짜 안내).

10) 문서·양식(복붙용 요약)

  • A) 단체관람 체크리스트(기관용): 인원/인솔자/동선/집결지/포토존/접근성/촬영 정책/비상 연락망/자료·배지 준비.
  • B) 서약서: 위 3항 참조(서명·연락처 포함).
  • C) 명단: 이름/연령대/그룹·배지/특이사항/보호자 연락처.
  • D) 비상카드(손목 스티커 가능): 집결지·핫라인 번호 인쇄.
  • E) 브리핑 카드: 1분 멘트가 적힌 카드(한국어/영어/쉬운 말).
  • F) 보고서 요약 폼: 지연·민원·사고·분실·칭찬 건수, 개선제안 3개.

11) KPI·운영 지표

  • 정시 입장률(%) = 정시 입장 단체/전체 단체.
  • 혼잡 구역 체류시간(분) = 포토존/핵심작품 앞 평균 체류시간(목표: 3분 이하).
  • 사건율(‰) = 1,000명당 사건 건수(이탈/부상/촬영 민원 등).
  • 재방문 의향(%) = 설문 ‘추천 의향’ 4·5점 비율.
  • 인솔자 만족도(5점) = 안내·표지·동선·포토존·교육자료 평균.

12) FAQ

Q1. 인솔자 비율은 꼭 지켜야 하나요?
A. 권장 기준입니다. 소그룹 통제와 안전 확보를 위해 신청 단계에서 반드시 담당 수를 확인하세요.

Q2. 설명은 전시실에서 하면 안 되나요?
A. 정숙 구역이거나 혼잡 시에는 교육실/로비를 추천합니다. 전시실에선 짧고 작은 목소리가 원칙입니다.

Q3. 단체 촬영을 하고 싶어요.
A. 포토존 또는 로비에서 무플래시로 가능하며, 삼각대·셀카봉은 금지입니다. 상업·언론 목적은 사전 허가가 필요합니다.

Q4. 휠체어/유모차 이동이 어렵습니다.
A. 엘리베이터·경사로 동선을 우선 배정하고, 후미관리 인솔자를 붙여 주세요. 통로 적치는 즉시 정리합니다.

Q5. 참가자 중 게시물 업로드가 많은데 문제 없나요?
A. 타인 식별 촬영·게시 제한작품 보호 원칙을 브리핑에서 명확히 고지하세요(5편·4편 참조).

 

근거/참고

  • 공공 문화시설의 일반 운영 원칙: 안전·질서 유지, 작품·시설 보존, 타인 권리(초상권·개인정보) 보호.
  • 대규모 관람의 표준 운영 관행: 소그룹 분산·집결지 고정·포토존 분리·무플래시, 삼각대/셀카봉 금지, 정숙 구역 구분.
  • 기관 내규 중요성: 사전 각서·동선 안내·비상 연락망·정시 집결 규정을 이용규칙/시행세칙에 명문화하면 분쟁과 지연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본 글은 일반 정보 제공이며, 구체 사안은 귀 기관 내규 및 필요 시 전문가 자문을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