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칙(30초 브리핑)
- 최소수집: 목적 달성을 위한 필수 필드만 수집(선택항목은 분리·라벨링).
- 명확 고지: 수집 목적·보관 기간·제3자 제공 여부·문의 채널을 간단 한국어로 고지.
- 쉬운 거부/철회: ‘응답 안 함’ 옵션, 이메일/메신저 즉시 삭제 요청 라우팅.
- 비식별 우선: 통계·보고엔 집계/가명화 데이터를 사용.
- 측정의 일관성: 정의·단위·기간을 데이터사전으로 고정.
2) 수집 채널·목적 매핑(무엇을, 왜 모으나)
현장 QR 설문 | 만족도·혼잡·동선 피드백 | 방문 날짜/시간대, 만족도(1~5), 재방문 의향(Y/N), 자유 의견 | 연락처는 선택 |
온라인 예약 후 설문 | 예약 UX·노쇼율 분석 | 예약 ID(가명화), 소요 시간, 취소 사유 | 개인 정보는 분리 저장 |
교육/행사 설문 | 교육 효과·만족도 | 프로그램 ID, 연령대(구간), 만족·추천 | 사진·초상 동의는 별도 |
키오스크 단문 설문 | 즉시성·장소 특정 | 1문항(예: 화장실 청결 1~5) | 10초 이내 종료 |
웹/앱 이벤트 로그 | 콘텐츠/동선 분석 | 세션ID(가명), 페이지·체류·전환 | 쿠키 고지·옵트아웃 |
공통: 주민등록번호, 상세 주소 등 민감·과다 필드 금지(18편 원칙).
3) 설문 설계(질문·척도·편향 완화)
- 문항 수: 일반 5~8문항, 행사용 10문항 이하.
- 척도: 5점 리커트(중립 포함) + **NPS(0~10)**는 선택.
- 순서 효과: 전반 만족→구체 항목→자유 의견→선택정보 순.
- 편향 최소화: “매우 좋았다/매우 나빴다” 대칭 선택지, 유도형 문구 금지.
- 개방형 질문은 1~2개로 제한(요약 키워드 추출을 염두).
- 파일 첨부(사진 등)는 선택으로 두고, 초상·저작권 고지 병행(4·18편 연계).
미니 설문(현장 30초) 예시
- 오늘 방문 경험은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웠습니까? (1~5)
- 가장 혼잡했던 구역은 어디였나요? (드롭다운)
- 개선이 필요하다고 느낀 한 가지를 적어 주세요. (자유응답)
4) 표본 설계·수집 운영
- 표본 크기: 일별 방문객의 5~10% 목표(피크·비피크 균형).
- 층화 표본: 요일(평/주말), 시간대(오전/오후/야간), 구역(전시/열람/로비)로 층화.
- 무작위화 장치: QR 표지 두 곳(입구/출구), 키오스크 랜덤 팝업 1/n(예: 1/5 세션).
- 응답 인센티브: 스티커/엽서 등 비식별 보상(경품은 개인정보 수집 수반 → 별도 동의·분리 저장).
- 누락/편향 점검: 주간 리포트에 응답자 분포 vs 실제 관람 분포 비교(과소층 보정).
5) 개인정보·프라이버시 운영(현장 고지 템플릿)
간단 고지(복붙용, 3문장 규격)
- “본 설문은 서비스 개선 목적으로만 사용됩니다.”
- “이메일·연락처 등 선택항목은 응답하지 않아도 됩니다(응답 시 별도 보호).”
- “삭제·문의: info@기관 / 메신저. 보관 6개월 후 파기(통계 자료는 비식별).”
연락처 수집 시 추가 문구
- “연락처는 후속 안내/당첨 통지 목적에만 사용하며, 언제든지 삭제를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6) 데이터 저장·권한·보관 기간
- 분리 보관: 설문 응답과 연락처/식별자는 테이블 분리, 키는 가명키로 연결.
- 역할권한: 분석자(집계 데이터 열람), 운영자(개별 응답 열람), 관리자(키-매핑 접근).
- 보관 기간: 원자료 6~12개월, 집계/보고는 장기 보관 가능(개인 식별 요소 제거).
- 파기 루틴: 분기 1회 자동 삭제 스케줄 + 로그 남김.
- 요청 처리: 삭제/열람 요구는 18편 SOP로 라우팅(접수번호 발급).
7) 이벤트 로그 스키마(웹/앱/키오스크 공통 최소안)
- session_id(가명), timestamp, page/zone, event(view/click/qr_scan/queue_join), referrer, duration, device_type, a11y_flag(접근성 설정 사용 여부), consent_version.
IP/정확 좌표 등 불필요 필드 제외. 동선 분석이 필요하면 zone 단위로만 수집.
8) 대시보드·KPI(정의·산식·주의)
전반 만족도(평균) | 5점 평균 | 일/주 | 표본 수 표기 병행 |
NPS | (9–10)−(0–6) 비율 | 월 | 문화시설 특성상 낮게 나올 수 있음 |
혼잡 체감 지수 | “혼잡 구역 응답비율” | 일 | 실제 출입 카운터와 대조 |
재방문 의향(%) | ‘예’ 비율 | 월 | 이벤트/특별전 영향 분리 |
응답률(%) | 응답 수/입장 수 | 일/주 | 층화별 응답률 병기 |
개선안 채택률(%) | 채택 아이디어/총 제안 | 월 | 정의를 사전에 고정 |
불만 재발률(%) | 동일 유형 30일 내 재접수 | 월 | 11편 보고서 태그와 연계 |
대시보드 섹션 추천: 오늘의 응답 수, 만족·혼잡 히트맵, 자유응답 키워드 워드클라우드, 개선안 진행상황(칸반 링크).
9) 운영 스크립트(현장·온라인)
현장 권유 멘트
- “방문 감사드립니다. 30초 설문에 참여해 주시면 공간 운영 개선에 큰 도움이 됩니다. 개인정보는 최소로만 묻습니다.”
거부/철회 요청
- “네, 응답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기존 응답 삭제를 원하시면 **이 주소로 ‘삭제요청’**을 보내 주세요.”
후속 연락 동의 분리(선택)
- “추가 인터뷰 연락을 받아보시겠어요? 예/아니오(예 선택 시 이메일/연락처 입력 칸 노출).”
10) 자유응답 정리·품질 루틴
- 라벨링: 주간 1회 주제 태그 10~20개 유지(예: 혼잡, 냉난방, 표지, 접근성, 화장실, 포토존, 교육).
- 요지 추출: 1문장 요약 + 강도(부정/중립/긍정) 체크.
- 중복·모욕 필터: 욕설·개인정보 포함 텍스트는 마스킹 후 집계.
- 피드백 루프: 월간 ‘우리가 바꾼 것 3가지’ 카드 발행(로비·웹 게시).
11) 실험(가벼운 A/B) 운영 원칙
- 목표 명확화: 설문 응답률↑, 혼잡 유도표시 가독성↑ 등.
- 단일 변수: 배너 문구, 포토존 위치 안내 화살표 크기 등 하나씩.
- 기간: 최소 1~2주(요일 편차 보정).
- 세그먼트: 시간대·요일로 층화, 접근성 세팅(a11y_flag) 분리 분석.
- 윤리: 과도한 추적·개인 식별 실험 금지, 옵트아웃 상시 제공.
12) 문서·템플릿(복붙용)
A) 설문 데이터사전(샘플)
- visit_date (YYYY-MM-DD), timeslot (AM/PM), zone (lobby/exhibit/reading), satisfaction (1-5), revisit_intent (Y/N), free_text (string), contact_opt_in (Y/N), contact (optional)
B) 운영 체크리스트(오픈 전 5분)
- QR/키오스크 정상 작동
- 고지 문구 보이기·최신화(버전)
- 응답 데이터 수신·백업 확인
- 인센티브(스티커 등) 구비
- 삭제/문의 채널 점검
C) 주간 보고서 요약 폼(11편 연계)
- 주간 응답수/응답률, 만족도·혼잡 TOP3, 자유응답 키워드 상위 10, 개선안 채택/진척, 과소층 보정 메모.
D) 삭제 요청 수신 템플릿(18편 연계)
- 제목: [삭제요청] 설문 응답 #ID
- 본문: 응답 시각·채널, 삭제 사유(선택), 회신 연락처(선택).
13) 위험·금지 사례(예방 가이드)
- 금지: 주민번호/정밀 주소/건강정보 수집, 동의 없는 연락처 강제, 자동 구독 체크, 얼굴·음성 원본 저장.
- 주의: 경품 이벤트로 과도한 연락처 수집 유도, 자유응답에 타인 개인정보 적시 — 즉시 마스킹.
- 보고: 침해 의심 시 11편 보고서 체계로 S1 이상 분류, 18편 절차 병행.
14) 교육·KPI·개선 루프
- 교육(월 20분): 고지·옵트아웃 멘트 롤플레잉, 데이터사전 업데이트, 표본 편향 케이스 스터디.
- KPI
- 응답률(목표 5~10%)
- 과소층 격차(실제 대비 ±5% 이내)
- 삭제 요청 처리시간(목표 3영업일 이내)
- 개선안 실행률(월 3건 이상)
- 민원 재발률(동일 이슈 30일 내 재접수 하락)
FAQ
Q1. 이메일 없이 경품 추첨이 가능한가요?
A. 현장 즉시 지급형(스티커/엽서)이 가장 안전합니다. 추첨이 필요하면 연락처 분리 보관과 동의 분리가 필수입니다.
Q2. 자유응답에 타인 실명이 적히면?
A. 즉시 마스킹하고, 필요시 18편 SOP로 라우팅합니다.
Q3. NPS는 꼭 써야 하나요?
A. 선택입니다. 문화시설 특성상 문맥 해석이 중요하니, 전반 만족도 + 재방문 의향 조합만으로도 충분합니다.
Q4. 웹 로그에서 위치 정보를 써도 되나요?
A. 정밀 위치는 지양하세요. 존(Zone) 단위로 충분하며, 쿠키 고지·옵트아웃을 유지하세요.
Q5. 인터뷰 패널을 만들고 싶습니다.
A. 설문 마지막에 별도 동의를 받아 연락처 분리·보관 기간 명시 후 관리하세요.
근거/참고
- 공공 문화시설 데이터 운영의 일반 원칙: 최소수집·명확 고지·쉬운 거부, 가명화·비식별 우선.
- 실무 관행: 층화 표본·랜덤 팝업, 간단 고지 3문장 규격, 데이터사전·정의 고정.
- 내부 연계 문서: 18편(개인정보·초상권 민원 대응), 11편(보고서 표준), 14편(접근성), 8편(군중·동선 관리).
※ 본 글은 일반 정보 제공이며, 구체 사안은 귀 기관 내규 및 필요 시 전문가 자문을 권장합니다.
'도서관·박물관 운영실무 매뉴얼: 분쟁·유실물·촬영·저작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시·열람 공간 표지(사인) 시스템 — 문구·픽토그램·가독성·배치 A/B 가이드 (0) | 2025.09.19 |
---|---|
분실물·민원 데이터 대장 표준화 — 코드 체계, 월간 보고, 재발 위치 히트맵 (0) | 2025.09.17 |
전시·행사 자원봉사자 운영 — 역할 정의, 교육 스크립트, 근무표, 리스크 관리 (0) | 2025.09.16 |
전시 캡션·홍보 카피 저작권·표시 규정 — 출처·인용·라이선스·오탈자 방지 체계 (0) | 2025.09.15 |
개인정보·초상권 민원 대응 — 삭제·정정·열람 요청 처리, 위험 문구 체크리스트와 SOP (0) | 2025.09.14 |
수유·유아 동반 고객 운영 가이드 — 수유실·기저귀 교환대·유모차 동선·민원 최소화 스크립트 (0) | 2025.09.13 |
분실아동(미아) 보호자 인계 심화 — 초동 멘트·신원 확인·CCTV 태깅·보고라인 업그레이드 (0) | 2025.09.12 |
안전·응급 대응(낙상·과호흡·경미 외상) 현장 키트 — 119 연락 기준·기록·보고 SOP (0) | 2025.09.11 |